본문 바로가기
DSM-5

DSM-5 | 지속성 우울장애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Dysthymia) | 진단 기준 | 발생 원인 | 유병률 | 위험 요인 | 심각도 수준 | 감별 진단 방법 | 경과

by 방구석 육아왕 2024. 9. 25.
반응형

개요/정의 (Overview/Definition)

지속성 우울장애(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흔히 기분부전증(Dysthymia)으로 알려진 이 장애는 만성적이고 장기적인 우울 상태를 특징으로 합니다. 증상은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보다 경미하지만, 더 오랜 기간 지속됩니다.

진단 기준 (Diagnostic Criteria)

  • 우울한 기분 (Depressed Mood):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이 최소 2년 이상 지속되어야 합니다.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최소 1년 동안 지속됩니다.
  • 추가 증상 (Additional Symptoms): 식욕 변화, 수면 장애, 에너지 부족, 낮은 자존감, 집중력 저하 또는 의사 결정의 어려움, 절망감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 기간 및 영향 (Duration and Impact): 증상이 없는 기간이 2개월 이상 지속되지 않아야 하며, 사회적, 직업적 기능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손상을 초래해야 합니다.

발생 원인 (Causes)

지속성 우울장애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genetic factors), 환경적 스트레스(environmental stressors), 그리고 생화학적 불균형(biochemical imbalances)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유병률 (Prevalence)

지속성 우울장애는 일반 인구의 약 0.5%에서 1.5%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성은 남성보다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청소년기나 성인 초기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험 요인 (Risk Factors)

  • 가족력 (Family History): 우울증이나 기타 정신 건강 장애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환경적 스트레스 (Environmental Stress): 스트레스나 트라우마가 발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신체 질환 (Physical Illness): 만성 질환이나 심각한 질병이 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심각도 수준 (Severity Levels)

지속성 우울장애의 심각도는 증상의 강도와 기능적 손상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심각도 수준 (Severity Level) 설명 (Description)
경도 (Mild) 증상이 존재하나 일상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
중등도 (Moderate) 증상이 더 두드러지고 일상 생활의 일부 측면에 영향을 미침.
중증 (Severe) 증상이 심각하여 모든 영역의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침.

감별 진단 방법 (Differential Diagnosis)

  • 주요 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더 심각한 우울 에피소드가 있는 경우 구별됩니다.
  •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 조증 또는 경조증 에피소드가 있는 경우 구별됩니다.

경과 내용 (Course and Prognosis)

지속성 우울장애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일 수 있으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예: 항우울제), 심리치료 및 생활 습관 관리의 조합을 포함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많은 개인이 증상을 관리하고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