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SM-5

DSM-5 | 의사소통 장애 (Communication Disorders) 요약 | 진단 기준 | 특징 | 감별 진단 방법 | 발병 원인 | 유병률

by 방구석 육아왕 2024. 9. 9.
반응형

진단 기준

  • 언어 장애 (Language Disorder): 언어의 습득 및 사용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이해 또는 생산의 결함으로 인한 것입니다. 이러한 언어 능력은 나이에 비해 상당히 낮아 기능적 제한을 초래합니다.
  • 말소리 장애 (Speech Sound Disorder): 말소리의 발음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어 말의 명료성에 지장을 줍니다.
  • 아동기 발병 유창성 장애 (말더듬) (Childhood-Onset Fluency Disorder, Stuttering): 정상적인 말의 유창성과 시간 패턴에 장애가 있어 사회적 참여나 학업 또는 직업적 수행에 제한을 초래합니다.
  • 사회적 (실용적) 의사소통 장애 (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 언어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사회적 사용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원인

  • 유전적 요인: 일부 의사소통 장애는 가족력에 의해 유전적 성분을 가질 수 있습니다.
  • 환경적 영향: 독소 노출, 자극 부족, 또는 트라우마와 같은 요인이 의사소통 장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신경학적 요인: 뇌 발달 또는 기능의 이상이 언어 및 말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유병률

의사소통 장애는 아동기 초기에 주로 진단되며, 다양한 문화적 및 언어적 배경을 가진 인구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험 요인

  • 출생 전 요인: 임신 중 독소 노출이나 영양 결핍 등이 포함됩니다.
  • 출생 중 요인: 출산 관련 합병증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출생 후 요인: 환경적 자극 부족, 사회적 상호작용 결핍 등이 포함됩니다.

감별 진단 방법

의사소통 장애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각 장애, 지적 장애 등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평가 및 표준화된 언어 및 지능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